Giao trình Ngôn ngữ học lợi ích -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Giao trình Ngôn ngữ học lợi ích do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ổng hợp và biên soạn.Tài liệu giúp bạn tham khảo, ôn tập, củng cố kiến thức và đạt kết quả cao trong kỳ thi sắp tới. 

Thông tin:
21 trang 3 tuần trước

Bình luận

Vui lòng đăng nhập hoặc đăng ký để gửi bình luận.

Giao trình Ngôn ngữ học lợi ích -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Giao trình Ngôn ngữ học lợi ích do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ổng hợp và biên soạn.Tài liệu giúp bạn tham khảo, ôn tập, củng cố kiến thức và đạt kết quả cao trong kỳ thi sắp tới. 

24 12 lượt tải Tải xuống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on
2020, Vol. 23, No. 4, pp. 39~57
코로나  인한언택트시대의
온라인교육실태연구
이용상영남대학교조교수
신동광광주교육대학교부교수

요약
연구에서는 대학들의라인 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라인 교육
내실화개선을위한시사점을도출하였다이를위하여영남권호남권충청지역별
개씩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대학생들이 학년 학기에경험한온라인수업방식과온라인수업에 대한불만
사항 온라인 수업의 이와 원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 라인 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과 온라인수업에대한만족도리고향후온라인 개선을
위한 보완점에 대해서 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학들은 경험한
온라인수업은동영강의형태가가장많았으며교수나과목에따른온라인수업
차이가발생하는주원인으로교수의수업준비도나정보통신기기활용능력차이교수와
관련된변인이업의발생가장인으로인식하고있었다학생들이온라인
수업을선호하는이유는온라인수업자체가갖는장점때문보다는염병확산예방때문인
것으로나타났다학생들은또한드웨활용보다소프트웨어활용에대해상대적으로
자신감이떨어지는것으로나타났으며동영상수업만족도가가장았고과제중심의
수업 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라인 수업 보완점에 대한 의견 결과 서버
증설과교수의온라인역량증진다양콘텐츠개발이필요한것으로나타났다
연구에서는이상의결과를종합하여향후라인수업개선을위한시사점과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주제어온라인수업코로나 확산온라인수업에대한인식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 1 저자: yong21c@gmail.com
** 교신저자: sdhera@gmail.com
I.
 코로나  확산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위해정부에서는고강도사회적거리두기정책을실시하여많은사람들이모이는
시설과업종운영을제한하였다보건복지이에따라사회전반에걸쳐비대면
접촉이 확산되었고코로나 염병 장기적 유행은 이와 같은 비대면 접촉방식
우리 사회에서 사람들이 접촉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자리 잡게 만들고 있다  우리
사회가비대면접촉사회로 변화하고있는것이다이와같이비대접촉이 반화되는
사회를언택트사회라고지칭하거또는면대면접촉줄어들고온라인
접촉이늘어나는현상을반영하여온택트사회라고도지칭하고있다이와
같은비대면언택트사회로의전환은우리교육현장에서도많은변화를초래하고있다
요컨대정부의고강도사회적거리두기에부응하여교육부도 차례걸친개학연기끝에
온라인 개학을 결정하였으며 이는 온라인 수업의 전면 시행을 초래하였다 특히
고등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국인 학생이 많은 대학교의 경우에는
고등학교보 먼저 온라인 개학을 하고 전면적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교
현장에서활용하는비대면온라인수업의방식은크게실시간쌍방향수업강의형콘텐츠
활용중심수업강의활동콘텐츠활용수업과제수행중심수업등이다교육부
개별 대학들은 목의 특성과 교수자의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이들 방법 하나를
선택하거나 가지이상의 방법혼합하여수업을 실시하도하였다 이에따라학교
현장에서 수업 방식은 어느 때보다도 복잡다단해졌고 이는 교수자 또는 목에 따라
수업의질과만족도편차가커질있음을의미한다
특히 학기 실시된 온라인 수업은 전례 코로나  전염병 확산 따라
갑작스럽게 시작측면이 있다이에따라 학교현장에서교수자는라인 수업위한
정보통신기술습득과같은준비를충분히시간적여유가었고학생들도갑작스럽게
변화된새로운환경에적응하는다소어려움이있었다동주
따라서지난 학기는수자와학생두가나름대로의시행착오겪는기간이라고해도
과언이아닐것이그러나여전로나 태로 인해 학기도대부분의학교들은
여전히 온라인 수업 중심으로 학사 운영을 하고 있고 욱이 향후 코로나 
종식되더라도 코로  같은 전염병이 언제든지 다시 확산 가능성을 배제할
없으므로이번코로나 사태를라인수업내실화를위한기회로삼을필요가있다이를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위해서는우선지난 학기동안온라인수업을경험한학생들이라인수업방식에대해서
어떻게 생각하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수업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문제점은무엇이고어느정도만족하고있는지등에대한실태사가이루어질필요가있다
이미 중등학교의 경우 온라인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으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국제개발연구센터수업의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사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 교사 가이드를 제공한 있다
가이드수업의내용학생들의학습적요구온라인수업의설계시행
관련하여 중등학교 교사들이 고할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도 중등학교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광범위한 설문 조사를 시하고 결과
분석하여 향후 온라인 업을 위한 시사점 도출하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지원하고 개선하기 위한 러한 노력들은 국가 또는 기관 차원에 폭넓 자료
수집과분석을바탕으로이루어졌다는측면에서향후온라인수업개선내실화에기여할
것으로 기대된그러이들노력들은 주로 중등학교 라인 수업을지원하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학교의 온라인 수업을 개선하고 내실화하 위한 방안 마련
연구는 개인 구자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본적으 성인
학습자를대상으로교육을시킨다는점에서대학교육은중등학교와는차별성을가지며
따라서 중등학생과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태와 문제점이 유사하더라도 이에 대한
교육적처방또는개선방안은다를있다라서대학생을대상으로온라인학습실태와
만족도를파악하고향후개선방안을모색하는연구가필요하며대학교현장에서온라인
학습실태를입체적으로망하기위한체계적인연구가수행될필요가있다이를위해
연구에서는온라인수업실태와문제점을알아보고시에온라인수업에대한만족도가
학교성별그리고온라인수업경험유무에라서달라질있음을감안하여이들변인을
고려한 실태 파악 연구를 통해 향후 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보다 풍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한다
연구에서는남권호남권충청권에소재한 대학에재학중인학생을대상으로
설문을실시하여언택트시대대학온라인수업실태파악하여개선점을도출하였다
설문은방식라인수업의문제점온라인수업이와원인온라인수업에
대한선호온라인업을위한보통신기술활용능력과온라인수업대한만족도
그리고향후라인수업개선을위한보완점에대한문항으로구성하였다연구에서는
설문분석결과를바탕으로 학년 학기라인수업이 진행된상과이에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을 바탕으로 향후 라인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수업 내실 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하였다 연구에서는 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연구 대상의 한계점을 대한 극복하고 더불어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온라인실태와인식이특정지역만의문제인지여부를판단하기위해 지역별로
대학을선정하여문을시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온라인교육의장점과한계
현재는 라인 교육이라는 용어가 대중화되었지만 거에는 전통적인 현장 대면교육
방식과대조되는 개념으로비대면의 원격교육 이라는 표현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였다 라인 교육 현장 대면교 다시 말해 오프라인 교육 달리
시간적간적제약이상대적으로적고 다양한매체와교수학습자료를활용할 있는
동시성과비동시성의원격교육을모두포함한다현수최형림김선희
최근의연구들성영이동주따르코로나 사태에서
온라인교육의가장장점은라인수업이감염병에대한노출위험으로부자유롭다는
점이다더불어라인수업에서는영상매체등의다양매개도구를활용한과업중심의
수업과반복학습이가능하다는리고학습자에게보다많은자기주도적학습기회가
주어진다는 점들도 온라인 수업의 또다 장점이라 있다 특히 라인 수업은
학습자들이인의수준에맞게학습도를조절있으며필요한경우인터넷검색
등을통해자료를검색하활용할있기때문에학습동기유발이오프라수업비해
상대적으로용이하다장점이있다
하지만이와반대로아직온라인교육이결해야다양한문제점도가지고있다
첫째전통적으로교육현장에서온라인교육의확산이힘들었던실질적인이유하나는
온라인육을위한인프라구축개인용컴퓨터습관리시스템쌍방향플랫폼
많은예산이소요된다는점이다이는교육의주체인학교나교수자들에게만요구되는것이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들에게도 요구된다는 점에서 강제하기 쉽지 않았다 실제
 전반기에코로나  확산으로인해갑작스럽게일선학교의수업이전면라인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교육부는 개인 컴퓨 등의 장비가 비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장비를 지원하기도 하였다교육부  둘째 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쌍방향 의사소통 프라인 수업보다 제한적이다 따라서 활한 의사소통 위해
교수자가추가적인보조학습료를개발하여제공해야하는데이에따른교수자의업무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부담문제는라인교육이풀어야숙제로남아있다셋째라인수업에서학습자들의
학습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교수자는 다양한 과제물을 학습자에게 제출하도록
요구하고있는이에따라교과별과제의증가로학습자의중한학습부담초래하고
있는 것도 온라인 교육의 다른 문제점으로 꼽힌다 과제물을 통한 학습 성과 점검은
아직까지온라인평가의뢰성이나공정성이분히확보되지못하였기때문이며이는
온라인수업의한계로여겨지고있다이동주넷째올해전면적인
온라인수업전환에따라부하로인한불안정인터넷연결등은학습자의학습
불안감을 가중시키는 요인 기도 한다 다섯째 새로운 매체의 활용 초기에는
학습자의 흥미도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지만 시간이 날수록 흥미도는 소하고
매체활용의 로도는 상대적으로 증가한다는 문제도 제기된   
마지막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지금까지 언급한 온라인 교육의 문제점들이 결국엔
학습자의학습집중도를떨어뜨릴있다는점과가정에서의라인학습환경의차이가
개인별학습성과격차를심화시킬있다는점이다
최근국교육학술정보원이 명의고교교사를대상으로실시설문조사에
따르면응답자의코로나  촉발된온라인교육기간동안학생학습격차가
커졌다응답하였다설문세부응답률을펴보면커졌응답한비율
매우 커졌다 응답  나타났으며 변화 없다 응답  그리고
줄어들었다매우줄어들었다나타났다또한이러한학력격차의이유
복수응답가능로는생의자기주도적학습능력차이
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 학부모의 학습 보조 여부
집계되었다재갑

이러한교육의양극화현상은대학수학능력시이후수능준비하는고등학교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년간의 수능
모의평가성적을분석한결과 모의평가를기준을수학가형을제외한
국ㆍ영ㆍ수모든과목에서원점수 이상의상위권국어증가수학나형
증가영어증가 전보다높아졌다그러나동시에 미만인하위권
비율국어증가수학나형증가영어증가또한 전보다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왕구  이와 같이 코로나  상황으로 인해 실시된 전면적인
온라인교육은염병확산상황에서오프라인교육에대한대안으로많은장점들이있는
것으로분석되지만여전히해결해야문제점들도당수있는것으로나타났다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코로나 상황에서의온라인교육실태연구
코로나  확산으로인해  학기는전면라인방식으로수업이운영되었고
기간동안온라인교육과관련하여다양한연구들은경이영석이종만
정창권윤종선정향기정희연지원행되었다
우선정향기라인수업과평가의만족도관한설문조사를실시하였고
주제에대해 명과 명의응답을분석하였다분석결과학생들은갑작스럽게실시된
전면온라인수업에대해매우만족한다고답했으며동영상강의경우학점 분량의
강의가적절하다답했다또한수업의 난이도온라인학습활동을위한보충과제도
적절하다고응답하였다학습자들은라인수업을통해자기주도적학습습관기를
있었다고응답하였고시간의구애받지않고학습할있다는점에서실시간강의보다는
동영상 강의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라인 평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 온라인
평가에족하였으며평가시간이으면평가과가공정해질것이라고제안하기도
하였다하지만수자와의상호작용은개선되어야부분으로지적하였다
정희연 윤지원 대전 소재 대학교의 한국어교육원에서 운영되는 동영상
강의를수강하는 명의학생들을대상으설문조사를실시하여만족도를석하였다
온라인 업에 대해  학생이 면대면 수업이 아니라서 싫다 응답했고 
학생은학교에가지않고수업을들을있어서좋았다응답했다라인업을시청한
시간으로는시간과동일한시간에수강한다고응답하였고동영
강의가 비실시간이라는 점을 십분 활용하여 개인의 일정에 따라 자유롭게 수강시간을
결정하는으로나타났다동영상강의는처음부터까지번에시청한다
응답하였고  중간 멈추었다가 이어서 본다 답했으며  중간에
멈추었다가 바로 이어 보지 않고 한참 뒤에 이어서 본다 응답하였다 시청 수의
경우에는번만본다가장많았 본다이상본다
응답도지했다기타의견으로는이해가가지않는부분 이상본다
응답도 당수 있었다 하지 이러 학습 유형들이 실제 학습결과 어떠 영향을
미치는지는 정희연과 윤지원의 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밖에도 라인 수업의
장단점에대해물은결과장점으로는대부분의응답자가안전성자율성리고반복
학습 복습꼽았 단점으로는 교사와 호작 즉각적 피드백의 한계
지적하였다또한온라인 수업경우대면수업에 비해개인의자율적관리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요구되고 동영상을 보는 동안 방해요소 많아 중이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다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이영석위에서살펴본정희연지원같이온라인수업중의학습자의
학습유형이 실제평가 결과와어떠한 관계가있는지를살펴보았이를위해이영석은
컴퓨터프로그래밍이라는교양과목을강하는학생들을대상으중간기말라인
형성평가를실시한생들의학습유형과평가결과간의관계를분석하였다분석결과
형성 평가 학습 횟수반복 시청 수가 아닌 학습 동영상  학습 기간 간에는
상관관계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습   학습 기간
 중간 평가 평가와 유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분석에적용된학습유형의변인이매우한정적이라는제한점이있었다
이종만사회적거리두기가강조된로나 상황의라인수업에서나타나는
학습자의 외로움과 이에 따른 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들의 외로움은 대학활적응의
위험인자로 나타났 튜브 과다사용 또한 대학 생활 적응에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주는것으나타났다또한통계적으유의하지는않았지만습자들의유튜브
과다사용이 학업 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들의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적응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대학생활적응이학습자들의학업성취와직결되는요인이다는것을의미한다포커스
그룹인터결과에서는학습자들이온라인수업의학습시간과장소에대한자율권학습
환경의 연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으로 학습자들은 온라인
수업기간길어지면서외로움을느낀다고답했일부학습자들은유튜브가온라인
수업의방해요인이라고응답하기도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존의 연구들 라인 수업 만족도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한 연구가 다수였으며 라인 수업이 학생의 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대한연구도일부있었다그러나코로나 사태가앞으로도상당기간지속될
있다는점과향후에코로나  같은전염병확산이에따른전면적인라인수업이
언제든지다시재현될다는점을고려할현행온라인수업의개선방안마련할
필요가있다 이를위해진행되고 있는라인수업의 실태와문제점들을파악하고
현행온라인 수업의보완점에대한 의견수렴하는연구가수행될필요가 있다더불어
개선방안의효과성을대한높이위해서는온라인수업을충실히따라가위해반드
요구되는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이나 라인 수업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한
체계적인분석을바탕으로차별화된개선방안련할필요가있다
이에연구에서는온라인수업실태보완점그리고집단에따른정보통신기술활용
능력이나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 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
연구에서상정하는연구제는다음과같다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  학기대학교에서운영된온라인수업의실태는어떠한가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는차이가있는가
현행라인수업의보완점은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연구에서는급한바와같이영남권호남권충청권으지역분류하여
지역에서 대학교를 선정하여 대학에서 온라인 설문 실시하였다 설문
참여자는이들대학의재학생들이며분석대상은불성실응답자를제외하고 대학 
대학  대학 명이다성별로는여학생이 남학생이 명이며
 학년도 학기이전에이미라인강의를수강한경험이있는학생은 경험이
없는학생은 명이다연구에여한학생들의학교별성별라인강의수강경험별
분포를요약하면같다
분석대상
구분
퍼센트
누적퍼센트
대학
영남권 대학



호남권 대학



충청권 대학



성별
여성



남성



온라인강의수강
경험



아니오





설문조사는 학기온라인수업을어느정도경험한시점인 월부터 까지온라인
설문 도구 서베이몽키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 설문지에는
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수업 형태와 온라인 수업의 차이와 원인 라인 수업을
선호한다면이유본인의정보통신기기활용능력과온라인수업에대한만족도온라인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수업에서보완되어야등에대하여조사하였으설문문항을요약하면
같다
설문내용
설문내용
문항
배경정보대학성별온라인강의수강유무
온라인수업실태온라인수업방식온라수업시사용하는
정보통신기기온라인수업장소
온라인수업차이원인
온라인수업에대한인식불만사항대면수업반대이유
온라인수업선호이유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온라인수업만족도
온라인수업보완점
구에서는 우선 문항별로기초 통계 분석 실시하여 온라인 실태와 온라인
수업에대한학생들의인식등을분석하였다다음으로학교성별라인수업경험유무에
따라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 족도에 이가 는지를 인하기 위해
독립표본검정과일원분산분석을실시하였다마지막으로현행라인업의보완점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석하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도출하였다
IV. 연구 결과 논의
온라인수업실태
우선연구에참여한학생들이 학기에경험한라인수업형태를살펴보면
제시된 바와 같이 교수의 강의를 녹화한 동영상 강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줌이나등을이용한온라인실시간화상강의태가많았다또한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기타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수업도  들이 경험하였으 동영상 강의
과제물중심의수업경험한것으로나타났다
온라인수업형태
내용
퍼센트
󰪦실시간화상강의구글미트


󰪧교수님의강의영상을활용한영상강의


󰪨교수님의강의가아닌기타동영상자료유튜브활용한
동영상강의


󰪩동영상강의없이과제중심의수업


󰪪기타



또한 학생들의  노트북을 이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데스크톱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라인 수업을 장소와 관련하여 절대 다수 집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는 것으로 나타나 로나  확산으로 인해 사람들이 모이는
공공장소를기피하는극단적인대면선호현상이있었음을있다
비대면라인수업대해서같이생들은교수또는과목에따라수업의
차이를대체적으로느끼는것으로나타났다학생들의수업에차이가있다고
응답다소이가있음이가있음반면만이차이가없다고응답차이가
없음차이가거의없음하였다수업차이가없다고응답한학생에비해차이가있다고
응답한학생이이상으로나타나학교현장에서교수나과목에따른온라인업의
차이가크다는것을있다
교수또는과목에따른온라인수업의차이
내용
퍼센트
󰪦차이가없음


󰪧차이가거의없음


󰪨보통


󰪩다소차이가있음


󰪪많은차이가있음

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

이와같이교수또는과목수업질에차이가나는원인에대해서학생들에어본
결과교수자의수업준비도가원인이라고응답한생이가장많았다다음으로
실시간화상강의나동영상수업과같이수업방식의차이가수업의이를초래한다고
응답하였으며교수자의정보통신기활용능력차이수업내용과수업
방식과의 적합도 차이 수업의 이가 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밖에수업의 여도나 평가방식 이가 전반적인 수업의 차이 발생 원인이라고
응답한학생도각각나타났다여기서하나주목할점은교수자의수업준비
정도 이와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이와 같이 교수자 변인을 선택한 생의 비율이
라인수업상황에서도여전교수자역할과역량이업의질을담보하는
가장중요한요인이라는이다
설문에서는에서제시된바와같이온라인수업차이생의가장원인
교수자의 수업 준비 정도 차이 나타났는데 이는  학기의 경우
코로나  급격한확산으로갑작스럽게전면라인수업이결정되어수자들이온라인
수업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이해된 예컨대 교수자들이
정보통신기기에대해익숙하지않은상태에서온라인수업형강의자료개발도제대로하지
못했을가능성이높다교수자의정보통신기기활용력의차이수업내용과라인수업
방식과의적합도차이실험실습중심의수업을온라인수업으로진행함에따른수업
저하주요요인으로나타난것은이와같은가능성을방증한다이와같은준비
정도이가시간이남에따라자연스럽게좁혀져서온라인수업의질에영향미치지
않게될지여부에대해서는후속연구를통해서면밀히분석해필요가있다
온라인수업의차이발생원인
온라인수업차이발생원인
퍼센트
󰪦교수자의정보통신기기활용능력의차이


󰪧교수자의온라인수업준비정도의차이


󰪨 수업내용과 온라인 수업 방식과의 적합도 차이실험 실습 중심의 수업을
온라인수업으로행함에따른수업저하


󰪩온라인수업방식의차이실시간화상강의동영상강의


󰪪온라인수업에서평가방식의차이


󰪫학생의온라인수업참여도차이

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기타



온라인 수업에 대해 학생들의 불만 사항을 사한 결과 에서 보여주듯이
교수자와의 호작 족을 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증가된
학습량 뒤를 이었다 부실한 수업 내용이나 비대면 라인 수업에 대한 낮은
친숙도가불만이라고응답학생도각각이었다에도학생상호
작용 부족 실험실습의 부재 온라인 수업 프라 부족 대해서도
적지않은학생이불만이있음을있었다
코로나 확산전에는온라인수업을듣더라도필요한경우얼마든지오프라인미팅을
통해호작용이가능하였지만현재는오프라인미팅등을통한상호작용자체가불가능한
상황이다 라서 교수자와의 호작 부족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수업에서도교수자와학생간의상호작용을높일있는교수또는정보통신기술개발
등에 관심 가질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온라인 업에 따른 학습량 증가 문제는
상호작용의 부족 상에서 해석될 있을 것이다 요컨대 오프라인과 달리 교수자가
학생들의학습활동에대해즉각적인피드백을 없기때문별도의과제물을통해
학습활동을인하고피드백을주는태로운영하다보니자연스럽게과제물이증가하고
이에 따른 학습 증가 제가 발생하고 있는 이다 또한 학생 간의 상호 작용 부재
온라인으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실험 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은 여전히
온라인수업에있어풀어과제로남아있다고있다
온라인수업에대한불만사항
온라인수업에대한불만사항
퍼센트
󰪦부실한수업내용


󰪧온라인수업을위한인프라부족인터넷속도컴퓨터등에대한접근성


󰪨교수자와의상호작용의부족


󰪩교수자의정보통신기기활용능력부족


󰪪실습실험등의부재


󰪫열악한교수학습지원시스환경


󰪬비대면온라인수업에대한낮은친숙도선호도흥미도포함


󰪭학생상호작용의부족

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증가된학습량과제




구에서는 또한 만일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선호한다면 이유인지에 대해
물어보았다 에서보여주듯이  학생이 코로나  같은전염병문제를
온라인수업을선호하는이유로들었다다음으로학생이시간과장소의제약이
거의없다는 점을선택하였으며비용절감반복적 학습으로인한편의성을이유로
학생도각각달하였다
온라인수업을선호하는이유
온라인수업선호이유
퍼센트
󰪦모바일디바이스의활용시간과장소의제약이거의없음


󰪧비대면수업으로인한추가적인비용절감기숙사비통비


󰪨비대면온라인수업에대한친숙도선호도흥미도포함향상

󰪩교수자와의비접촉으로인한대인관계의편의성


󰪪학생비접촉으로인한대인관계의의성


󰪫반복적학습의가능편의성


󰪬전염병등의위생문제해결


온라인수업선호이유
퍼센트
󰪭교수자의의존에서벗어능동적인학습시도책임감강화



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다음으로학생들의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에대해 리커트도로응답하도록
결과  같이 항목별로 평균  에서  나타났다 세부적으 살펴보면
컴퓨터나 노트북 같은 하드웨어 활용 능력의 점수가 평균  가장 높았고 
 같은소프트웨활용능력이 가장낮은것으로나타났다요컨대학생들은
하드웨어활용은상대적으로자신이있지소프트웨어활용능력은상대적으로자신감이
떨어지는것으로이해되며따라서소프트웨활용능력함양을위한교육이지속적으로
이루어필요가있다학생들의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을학교별로살펴보호남권에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위치한 대학이관되게모든항목에서본인이평가보통신기술활용능력이가장
높게나타났성별로펴보면학습관리시스템활용능력이나등의활용능력에서는
여학생의점수가았으며나머지목에서는남학생의평균점수가높게나타났다
마지막으로온라인수업경험유무에따라서는이전에온라인수업을경험해봤다고응답
학생들이모든항목에서관되게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의평균점수가높게나타났다
학습자의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차이
(단위, %)
내용
전체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컴퓨터노트북태블릿활용능력

 

 
 
F
t
t
󰪧구글클래스룸등과같은플랫폼
활용능력

 

 
 
F
t
t
󰪨프트웨어활용능력

 

 
 
F
t
t
󰪩 교내 
학습관리시스활용능력

 

 
 
F
t
t
󰪪기타교육활용능력

  
 
 
F
t
t
** p<0.01, ***p<0.001
연구에서는 또한 이와 같은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알아보
위해 일원 분산분석학교 차이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
실시하였다
에서보여주듯학교성별에따른보통신기술활용능력이는󰪩교내
활용능력에서통계적으로유의미한것으로나타났다반면라인수업
경험유무에따른이는󰪧구글클래스등과같은플랫폼활용능력제외한모든
능력에서통계적으로유의미하였다연구에서정보통신기활용력은자기보고식
척도로서 학생들이 본인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대해서 얼마나 자신감을 가지고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있는지를 나타낸다고 있으며 따라서 통계적 검정 결과는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경험이 적어도 학생들이 본인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력에 대한 자신으로 이어질
있음을보여준다
온라인수업만족도
이어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라인 수업 태별로
만족도를 리커트도로학생들에게물어보았에서보여주듯이수업형태별
만족도를살펴보면강의과제물중심의수업이만족도가평균 가장낮았으며
교수자의 강의 영상을 활용한 동영상 강의가  강의 만족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강의는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만족도가 보통
이상 이상으로나타난 반면 다른 온라인 형태는 모두 보통 이하 이하
나타나전반적으로족도가낮은것으로인되었다동영상강의에대한족도는학교
성별온라인수업경험유무에관계없이가장높게나타났는데이는학습자들이간이나
장소의 제약 업을 들을 있고 반복 시청 등이 능한 비동시성 강의를 가장
선호하고있음을여준다
다만학교별석에서는영남권에위치 대학교가모든항목에서일관되만족도가
높았으며 호남권에 치한 대학교가 대체적으로 가장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남학생들은 시간 화상 강의나 교수님의 동영상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여학생들은 과제물이나 강의 없는 동영상 자료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남학생보다높게나타났다마지막으로이전에라인수업을경험한학생들의족도가
온라인수업을경험하지학생들의만족도보다관되게낮게나타났
온라인수업에대한만족도
(단위, %)
내용
전체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실시간화상강의


 
 
 
F
t
t
󰪧교수님의강의영상을활용한
동영상강의

 
 
 

F
t
t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내용
전체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교수님의강의가아닌기타동영상
자료를활용한동영강의

  
 
 
F
t
t
󰪩동영상강의없이과제중심의수업

  
 
 
F
t
t
** p<0.01
다음으로온라인수업만족도의집단차이가통계적으로유의미한지를알아보기위해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일원 분산분석학교 차이 
검정성별라인수업경험유무차이실시하였다
에서보여주듯온라인수업만족도 차이 정에서는교수자의 동영상 강의에
대해서만학교통계적으로의미한 차이가있는것으로확인되었으며외에성별
온라인수업경험유무에따른이는통계적으로유의미하지않은으로나타났다이와
같은 결과 족도 균값 연계해서 살펴보면 모든 집단에서 만족도 평균이
보통이상 이상교수자의 동영상강의는 학교간에만족도 차이가있지만나머지
온라인수업형태에서는체적으로만족도가낮으며이와같이낮은만족도는집단간에
차이가없는것으로해석된다이와같은결과는라인수업만족도를제고할있는개선
방안마련이시급히이루어져야함을시사한다
온라인수업에대한보완점
마지막으로연구에서는 학기라인수업을바탕으로온라인수업에대한완점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았다 설문 결과  학생이 안정적인 서버 구축을 보완점으로
꼽았다이는라인수업초기서버불안정으로인한접속장애등의혼란을반영한결과로
있다특히박은경의하면컴퓨오류등의기치못한문제
발생으로인해실시간화상강의에대한불안감이동영상강의보다높다고보고하고있으며
따라서올해서버불안정등의제로인해실시간화상강의에대한만족도가동영상
강의만족도보다나타났을가능성이있다
다음으로가장많이선택한보완점은교수라인수업역량증진과라인수업방식
운영의 표준화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 전환으 인해 라인
수업에 합한 교수법이나 강의 자료 준비강의 방식에 대한 분한 준비 학기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온라인수업이이루어졌음을방증한다따라서라인교육에적합한온라인맞춤형교수
학습자료의개발또한으로해결해야주요과제라있다같은맥락에서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 생도 
달하였다
온라인수업에대한보완점
온라인수업보완점
퍼센트
󰪦기능개선


󰪧안정적인서버구축


󰪨온라인수업방식영의표준화원격통신미디어학습기간평가방식


󰪩엄격한학사관리출석평가준의엄격한적용


󰪪교수의온라인수업역량증진
온라인수업에맞는교수방법개발교수도구활용


󰪫온라인수업에활용할모바일디바이스대여를위한장비확충


󰪬상호작용의개선을위한기술개발
현재는아이컨택이불가능하기때문에기술등의도입필요


󰪭온라인수업에활용할있는다양한콘텐츠개발보급


󰪮학생협력학습촉진을위한온라인학습공동체
지원학습커뮤니티온라인조교운영




V. 결론 시사
연구에서는대학현장에서코로나 확산으로발된라인교육의실태를
알아보고자영남권호남권충청권 대학교에재학중인대학생을상대로온라인
교육의실태와족도완점을살펴보았다
우선 라인 수업 태로는 강의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화상 강의 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정도학생들이교수또는과목에따라서수업의질에이를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의 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교수자의수업준비정도차이라고응답하였으며음으로교수자의정보통신기기활용
능력차이나수업내용과온라인수업방식의적합도차이라고응답하였다가까운
학생들이 교수자 관련된 요인을 수업의 차이 발생 원인으로 선택하였으며 이는
코로나  확산으로 라인 수업으로 갑작스럽게 전환된 데에 따른 과도기 현상으로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이해된다 다만 후속 연구를 통해 일정한 준비 기간을 거친 학기 라인 업에서도
여전히 교수자 관련 요인이 온라인 수업 질을 우하는 가장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할필요가있다
또한 설문 분석 결과 학생들이 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가장 이유는 염병 예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 자체의 장점들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는 학습
반복학습의 편의성 아직까지부수적인이유인 것으로나타났다 이와같이라인
수업 자체의 장점들 문에 오프라인 수업보다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므로
학생들이오프라인수업과비교하여라인수업에대한잠재적인불만이있을있음을
보여준다
온라인수업을위한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에대해서살펴본결과학생들은컴퓨터나
노트북 같은 하드웨어에 대한 본인들의 활용 능력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했지만 구글
클래스룸이나 등의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나고있다이는학생들이하드웨어에비해소프트웨활용에대해서는자신감이없어
하는 것으 해석할 으며 라서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상을 위한
지속적인교육이루어질필요가있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족도 분석 결과 동영상 강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동영상강의과제물중심의수업대한만족도가가장낮게나타났으며
학교나성별라인수업경험유무관계없이일관된결과를보여주고있다이와같은
결과는학생들이시간과공간에제약수업들을있는비동시적학습을선호하는
최근경향과 과중한과제에 대한불만이반영된결과로해석된다 이는 과제물의증가가
온라인교육에서가장부담이며학생들이과제물중심의수업을선호하지않는다는선행
연구이동주   와도 부합한다한편 동영상 강의다음으로실시간화상
강의에대한족도가높게나타났다종만온라인으로인한호작용의
부재가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보고하고 있으 이는 학생들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고 음을 여준다 라서 실시간 화상 강의 대한
만족도가동영상강의다음으로높은것은실시간화상강의가학습자들이선호하는학습의
비동시성을 약하긴 하지만 교수자와 학습자간 호작용이 제한적이나마 이루어질
있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이 영된 결과로 인다 다만 올해 생했던 서버
불안정의문제는잠재적으로실시간화상강의에대한만족도를저해하는요인으로작용할
으며따라서 원활 비대면 라인 수업이 이루 있도록 서버 증설과 같은
온라인수업관련인프라확충지속적으로루어질필요가있다
lOMoARcPSD| 47882337
코로나  인한택트시대의온라교육실태연구
마지막으로 학기온라인수업의경험을바탕으로라인수업의보완점에대한의견
수렴 결과󰪦 안정적인 서버 구축󰪧 교수의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온라인 수업에
활용할 있는 다양한 텐츠 개발 보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안정적인 서버
구축에 대한 요구는 일부 과목에서 용되었던 온라인 수업 방식을 모든 목에
적용함에따라일시적으로발생했던과부하의제와이로인한수업불편의문제
반영된 결과로 보이지만 향후에도 러한 요구 속되는지 밀히 관찰 필요가
있다더불어여러가지보완점시급개선되어사항이무엇인지에대한면밀한
검토가행될요가있다예컨대학의역량이한정되어있는상황에서서버의
문제가 온라인 수업 기에 일시적인 문제이고 학습자들이 서버 구축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없다면수의라인수업역량증진이나다양한콘텐개발보급에대학의
역량을집중할필요있는것이다
연구는라인학습실태대한기초연구로서다양학습변인과이들변인이학습
결과에떠한영향을미치는지에대한실증적인연구이루어지지못했다는제한점이
있다따라서후속연구에서라인학습방식에따른학습효과검증하는실증연구가
이루어질필요가있다
참고문헌
교육부  모든 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환경 구축에 총력


색일김현수최형림김선희가상교육의핵심성공
요인교육공학연구
박성영  비대면 온라인 실습수업을 통한 율적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부경대학교부산
박은경  코로나  확산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대한인식조사멀티미디어언어교육
보건복지부  코로나 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

검색일
lOMoAR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 
이동주코로나 상황에서대학온라인원격교육태와방안
멀티미디어언어교육   이영석 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학습효과의관관계연구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이왕구 한국일보  비대면 수업에 학력격차 커졌고하위권은 아예
배제됐다 
색일 

이종만  코로나  원격 교육에서 로움과 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에대한탐색적연구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정창권윤종선온라인실시간강의의운영사례교육효과고려대학글쓰기
과목을중심으로한국융합인문학
정향기코로 상황의대학교육에있어서전면적라인수업실행평가에
대한학습자만족도멀티미디어언어교육
정희연 지원 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인문사회 
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경험인식분석.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한재갑교육잇
교사  학생 학습격차 커졌다 학기 전면 등교수업할까
검색일  

           
     
 
색일
  개강 첫날 대학 온라인강 서버 폭삭교수학생 우왕좌왕

(검색일: 2020.09.05.)


논문접수수정본접게재승인
| 1/21

Preview text: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0, Vol. 23, No. 4, pp. 39~5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이용상 (영남대학교 조교수)**
신동광 (광주교육대학교 부교수)**** 요약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교육
내실화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각 지역별
1 개씩 총 3 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대학생들이 2020 학년도 1 학기에 경험한 온라인 수업 방식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불만
사항,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와 원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보완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경험한
온라인 수업은 동영상 강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교수나 과목에 따른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가 발생하는 주원인으로 교수의 수업 준비도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차이 등 교수와
관련된 변인이 수업의 질 차이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는 온라인 수업 자체가 갖는 장점 때문보다는 전염병 확산 예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또한 하드웨어 활용보다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영상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과제물 중심의
수업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서버
증설과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 및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주제어 : 온라인 수업, 코로나 19 확산,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 제 1 저자: yong21c@gmail.com
** 교신저자: sdhera@gmail.com I. 서 론
2020 년 코로나 19 확산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을 실시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시설과 업종의 운영을 제한하였다(보건복지부, 2020).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접촉이 확산되었고, 코로나 19 전염병의 장기적인 유행은 이와 같은 비대면 접촉방식이
우리 사회에서 사람들이 접촉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자리 잡게 만들고 있다. 즉, 우리
사회가 비대면 접촉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대면 접촉이 일반화되는
사회를 ‘언택트 사회(untact society)’라고 지칭하거나 또는 면대면 접촉이 줄어들고 온라인
접촉이 늘어나는 현상을 반영하여 ‘온택트 사회(ontact society)’라고도 지칭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대면, 즉 언택트 사회로의 전환은 우리 교육 현장에서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요컨대 정부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부응하여 교육부도 4 차례에 걸친 개학 연기 끝에
온라인 개학을 결정하였으며 이는 온라인 수업의 전면 시행을 초래하였다. 특히
초·중·고등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국인 학생이 많은 대학교의 경우에는
초·중·고등학교보다 먼저 온라인 개학을 하고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방식은 크게 실시간 쌍방향 수업, 강의형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강의 및 활동형 콘텐츠 활용 수업, 과제 수행 중심 수업 등이다(교육부, 2020).
개별 대학들은 과목의 특성과 교수자의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이들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혼합하여 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수업 방식은 그 어느 때보다도 복잡다단해졌고 이는 교수자 또는 과목에 따라
수업의 질과 만족도 편차가 더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지난 1 학기 실시된 온라인 수업은 전례가 없는 코로나 19 전염병 확산에 따라
갑작스럽게 시작된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교수자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습득과 같은 준비를 충분히 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고, 학생들도 갑작스럽게
변화된 새로운 수업 환경에 적응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이동주, Misook Kim, 2020).
따라서 지난 1 학기는 교수자와 학생 모두가 나름대로의 시행착오를 겪는 기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2 학기도 대부분의 학교들은
여전히 온라인 수업 중심으로 학사 운영을 하고 있고, 더욱이 향후 코로나 19 가
종식되더라도 코로나 19 와 같은 전염병이 언제든지 다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번 코로나 19 사태를 온라인 수업 내실화를 위한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이를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위해서는 우선 지난 1 학기동안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 방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수업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문제점은 무엇이고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실태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미 초·중등학교의 경우 온라인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국제개발연구센터(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er, IDRC)는 수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 교사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 교사 가이드를 제공한 바 있다.
IDRC(2020)의 가이드는 수업의 내용, 학생들의 학습적 요구, 온라인 수업의 설계 및 시행과
관련하여 초·중등학교 교사들이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n.d.)에서도 초·중등학교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광범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온라인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지원하고 개선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들은 국가 또는 기관 차원에서 폭넓은 자료
수집과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는 측면에서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 및 내실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들 노력들은 주로 초·중등학교 온라인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학교의 온라인 수업을 개선하고 내실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
연구는 개인 연구자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본적으로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시킨다는 점에서 대학 교육은 초·중등학교와는 차별성을 가지며,
따라서 초·중등학생과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형태와 문제점이 유사하더라도 이에 대한
교육적 처방 또는 개선 방안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교 현장에서 온라인
학습 실태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동시에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학교, 성별 그리고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 이들 변인을
고려한 실태 파악 연구를 통해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보다 풍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에 소재한 3 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언택트 시대 대학의 온라인 수업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설문은 수업 방식과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와 원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보완점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0 학년도 1 학기 온라인 수업이 진행된 양상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을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수업 내실화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연구 대상의 한계점을 최대한 극복하고, 더불어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온라인 실태와 인식이 특정 지역만의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3 개 지역별로 각 1 개
대학을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교육의 장점과 한계
현재는 온라인 교육이라는 용어가 대중화되었지만 과거에는 전통적인 현장 대면교육
방식과 대조되는 개념으로서 비대면의 원격교육(distance education)이라는 표현을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였다. 온라인 교육은 현장 대면교육, 다시 말해 오프라인 교육과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고 다양한 매체와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동시성과 비동시성의 원격교육을 모두 포함한다(김현수, 최형림, 김선희, 1999).
최근의 연구들(박성영, 2020; 이동주, Misook Kim, 2020)에 따르면 코로나 19 사태에서
온라인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온라인 수업이 감염병에 대한 노출 위험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이다. 더불어 온라인 수업에서는 영상매체 등의 다양한 매개 도구를 활용한 과업 중심의
수업과 반복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학습자에게 보다 많은 자기주도적 학습 기회가
주어진다는 점들도 온라인 수업의 또다른 장점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들이 본인의 수준에 맞게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자료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동기 유발이 오프라인 수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아직도 온라인 교육이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첫째, 전통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온라인 교육의 확산이 힘들었던 실질적인 이유 중 하나는
온라인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예, 개인용 컴퓨터, 학습관리시스템, 쌍방향 플랫폼 등)에
많은 예산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이는 교육의 주체인 학교나 교수자들에게만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들에게도 요구된다는 점에서 강제하기 쉽지 않았다. 실제
2020 년 전반기에 코로나 19 의 확산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일선 학교의 수업이 전면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교육부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장비가 구비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장비를 지원하기도 하였다(교육부, 2020). 둘째,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쌍방향 의사소통이 오프라인 수업보다 제한적이다. 따라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교수자가 추가적인 보조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교수자의 업무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부담 문제는 온라인 교육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셋째,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교수자는 다양한 과제물을 학습자에게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바, 이에 따라 교과별 과제의 증가로 학습자의 과중한 학습 부담을 초래하고
있는 것도 온라인 교육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 꼽힌다. 과제물을 통한 학습 성과 점검은
아직까지 온라인 평가의 신뢰성이나 공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며, 이는
온라인 수업의 한계로 여겨지고 있다(이동주, Misook Kim, 2020). 넷째, 올해 초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 전환에 따라 서버 과부하로 인한 불안정한 인터넷 연결 등은 학습자의 학습
불안감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다섯째, 새로운 매체의 활용은 초기에는
학습자의 흥미도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흥미도는 감소하고
매체활용의 피로도는 상대적으로 증가한다는 문제도 제기된다(Kanda et al., 2004).
마지막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지금까지 언급한 온라인 교육의 문제점들이 결국엔
학습자의 학습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과 가정에서의 온라인 학습 환경의 차이가
개인별 학습 성과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51,021 명의 초·중·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코로나 19 로 촉발된 온라인 교육 기간 동안 ‘학생 간 학습격차가
커졌다’고 응답하였다. 설문의 세부 응답률을 살펴보면, ‘커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46.3%,
‘매우 커졌다’는 응답은 32.7%로 나타났으며 ‘변화 없다’의 응답은 17.6%, 그리고
‘줄어들었다’와 ‘매우 줄어들었다’는 3.4%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학력격차의 이유(2 개
복수 응답 가능)로는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차이’가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13.9%의 ‘학부모의 학습 보조 여부’로 집계되었다(한재갑, 2020).
이러한 교육의 양극화 현상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후 수능)을 준비하는 고등학교 3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3 년간의 수능 6 월
모의평가 성적을 분석한 결과, 2020 년 6 월 모의평가를 기준을 할 때 수학 가형을 제외한
국ㆍ영ㆍ수 모든 과목에서 원점수 90 점 이상의 상위권 비율(국어 1.7% 증가, 수학 나형
5.47% 증가, 영어 4.54% 증가)이 3 년 전보다 높아졌다. 그러나 동시에 40 점 미만인 하위권
비율(국어 1.87% 증가, 수학 나형 7.86% 증가, 영어 0.46% 증가) 또한 3 년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왕구, 2020). 이와 같이,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실시된 전면적인
온라인 교육은 전염병 확산 상황에서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많은 장점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2.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코로나 19 의 확산으로 인해 2020 년 1 학기는 전면 온라인 방식으로 수업이 운영되었고
이 기간 동안 온라인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박은경, 2020; 이영석, 2020; 이종만,
2020; 정창권, 윤종선, 2020; 정향기, 2020; 정희연, 윤지원, 2020)이 수행되었다.
우선 정향기(2020)는 온라인 수업과 평가의 만족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주제에 대해 141 명과 121 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갑작스럽게 실시된
전면 온라인 수업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동영상 강의 경우 학점 당 25 분 분량의
강의가 적절하다고 답했다. 또한 수업의 난이도 및 온라인 학습 활동을 위한 보충과제도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학습자들은 온라인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습관을 기를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고 시간의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시간 강의보다는
동영상 강의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평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3.7%가 온라인
평가에 만족하였으며 평가 시간이 짧으면 평가 결과가 더 공정해질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지적하였다.
정희연, 윤지원(2020)은 대전 소재 A 대학교의 한국어교육원에서 운영되는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125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에 대해 50%의 학생이 ‘면대면 수업이 아니라서 싫다’고 응답했고 30%의
학생은 ‘학교에 가지 않고 수업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고 응답했다. 온라인 수업을 시청한
시간으로는 28.8%는 수업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수강한다고 응답하였고, 70.4%는 동영상
강의가 비실시간이라는 점을 십분 활용하여 개인의 일정에 따라 자유롭게 수강시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강의는 58.4%가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에 시청한다’고
응답하였고 30.4%는 ‘중간에 멈추었다가 이어서 본다’고 답했으며 10.4%는 ‘중간에
멈추었다가 바로 이어 보지 않고, 한참 뒤에 이어서 본다’고 응답하였다. 시청 횟수의
경우에는 ‘한 번만 본다’가 54.4%로 가장 많았고 ‘두 번 본다’가 28%, ‘세 번 이상 본다’는
응답도 10.4%를 차지했다. 기타 의견으로는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만 2 번 이상 본다’는
응답도 상당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학습 유형들이 실제 학습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정희연과 윤지원의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이 밖에도 온라인 수업의
장단점에 대해 물은 결과 장점으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안전성’과 ‘자율성’ 그리고 ‘반복
학습’과 ‘복습’을 꼽았고 단점으로는 ‘교사와 상호작용 및 즉각적인 피드백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경우 대면 수업에 비해 개인의 자율적 관리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더 요구되고 동영상을 보는 동안 방해요소가 많아 집중이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다.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이영석(2020)은 위에서 살펴본 정희연, 윤지원(2020)과 같이 온라인 수업 중의 학습자의
학습 유형이 실제 평가 결과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영석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는 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간, 기말 및 온라인
형성평가를 실시한 후 학생들의 학습 유형과 평가 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형성 평가, 학습 횟수(반복 시청 횟수가 아닌 학습 동영상 수) 및 학습 기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습 횟수(r=0.39 p<0.05)와 학습 기간(r=0.42
p<0.05)은 중간 평가 및 기말 평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분석에 적용된 학습 유형의 변인이 매우 한정적이라는 제한점이 있었다.
이종만(2020)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된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외로움과 이에 따른 유튜브(YouTube)의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들의 외로움은 대학생활적응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유튜브 과다사용 또한 대학 생활 적응에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학습자들의 유튜브
과다사용이 학업 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들의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적응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대학생활적응이 곧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와 직결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에서는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의 학습 시간과 장소에 대한 자율권 및 학습
환경의 유연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학습자들은 온라인
수업 기간이 길어지면서 외로움을 더 느낀다고 답했고 일부 학습자들은 유튜브가 온라인
수업의 방해 요인이라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기존의 연구들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한 연구가 다수였으며, 온라인 수업이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일부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 19 사태가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과 향후에 코로나 19 와 같은 전염병 확산 및 이에 따른 전면적인 온라인 수업이
언제든지 다시 재현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행 온라인 수업의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수업의 실태와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현행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개선 방안의 효과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온라인 수업을 충실히 따라가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이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 실태 및 보완점 그리고 집단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이나 만족도 차이 등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 2020 년 1 학기 대학교에서 운영된 온라인 수업의 실태는 어떠한가?
-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 현행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은 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으로 지역을 분류하여 각
지역에서 1 개 대학교를 선정하여 총 3 개 대학에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참여자는 이들 대학의 재학생들이며, 분석 대상은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A 대학 52 명,
B 대학 53 명, C 대학 403 명이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336 명, 남학생이 172 명이며,
2020 학년도 1 학기 이전에 이미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393 명, 경험이
없는 학생은 115 명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교별, 성별, 온라인 강의 수강 경험별
분포를 요약하면 <표 1>과 같다. <표 1> 분석 대상 구분 N 퍼센트 누적 퍼센트 영남권 A 대학 52 10.2 10.2 대학 호남권 B 대학 53 10.4 20.7 충청권 C 대학 403 79.3 100.0 여성 336 66.1 66.1 성별 남성 172 33.9 100.0 예 393 77.4 77.4 온라인 강의 수강 경험 아니오 115 22.6 100.0 계 508 100.0
설문 조사는 1 학기 온라인 수업을 어느 정도 경험한 시점인 6 월부터 7 월까지 온라인
설문 도구인 서베이몽키(SurveyMonkey)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에는
학생들이 경험한 온라인 수업 형태와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와 그 원인, 온라인 수업을
선호한다면 그 이유, 본인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온라인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설문 문항을 요약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설문 내용 설문 내용 문항 수 응답 유형
배경 정보(대학, 성별, 온라인 강의 수강 유무 등) 5 선택형
온라인 수업 실태(온라인 수업 방식, 온라인 수업시 사용하는
정보통신기기, 온라인 수업 장소 등) 3 선택형 선택형
온라인 수업 질 차이 및 원인 2 (원인은 2 개까지 선택 가능)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불만 사항, 대면 수업 반대 이유,
온라인 수업 선호 이유 등) 5 선택형(2 개까지 선택 가능)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5
척도형(5 점 리커트 척도) 온라인 수업 만족도 5
척도형(5 점 리커트 척도) 온라인 수업 보완점 1 선택형(2 개까지 선택 가능)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항별로 기초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온라인 수업 실태와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행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 온라인 수업 실태
우선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1 학기에 경험한 온라인 수업 형태를 살펴보면,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교수의 강의를 녹화한 동영상 강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44.8%),
다음으로 줌이나 구글 등을 이용한 온라인 실시간 화상 강의 형태가 많았다(31.5%). 또한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기타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수업도 16.9%의 학생들이 경험하였으며, 동영상 강의 없이
과제물 중심의 수업도 6.3%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온라인 수업 형태 내용 N 퍼센트
① 실시간 화상 강의(예, 줌(Zoom), 구글 미트(Meet) 등) 302 31.5
② 교수님의 강의 영상을 활용한 동영상 강의 430 44.8
③ 교수님의 강의가 아닌 기타 동영상 자료(예, 유튜브(YouTube) 등)를 활용한 162 16.9 동영상 강의
④ 동영상 강의 없이 과제물 중심의 수업 60 6.3 ⑤ 기타 6 0.6 계 960 100.0
또한 학생들의 77%가 노트북을 이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데스크톱(12.5%), 스마트폰(10.4%)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을 듣는 장소와 관련하여 절대 다수(99.5%)는 집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는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를 기피하는 극단적인 비대면 선호 현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해서 <표 4>와 같이 학생들은 교수 또는 과목에 따라 수업의 질
차이를 대체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49.8%는 수업에 질 차이가 있다고
응답(다소 차이가 있음, 많은 차이가 있음)한 반면, 19.4%만이 차이가 없다고 응답(차이가
없음, 차이가 거의 없음)하였다. 수업에 질 차이가 없다고 응답한 학생에 비해 차이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두 배 이상으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 교수나 과목에 따른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 교수 또는 과목에 따른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 내용 N 퍼센트 ① 차이가 없음 12 2.8 ② 차이가 거의 없음 72 16.6 ③ 보통 134 30.8 ④ 다소 차이가 있음 162 37.2 ⑤ 많은 차이가 있음 55 12.6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계 435 100.0
이와 같이 교수 또는 과목 간 수업의 질에 차이가 나는 원인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물어본
결과 교수자의 수업 준비 정도가 원인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28.1%). 다음으로
실시간 화상 강의나 동영상 수업과 같이 수업 방식의 차이가 수업의 질 차이를 초래한다고
응답하였으며(19.4%), 교수자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차이(18.9%)와 수업내용과 수업
방식과의 적합도 차이(18.9%)도 수업의 질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수업의 참여도나 평가방식의 차이가 전반적인 수업의 질 차이 발생 원인이라고
응답한 학생도 각각 8.0%와 6.3%로 나타났다. 여기서 하나 주목할 점은 교수자의 수업 준비
정도 차이와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차이와 같이 교수자 변인을 선택한 학생의 비율이
47%로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도 여전히 교수자의 역할과 역량이 수업의 질을 담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이다.
본 설문에서는 <표 5>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수업 질 차이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교수자의 수업 준비 정도 차이(28.1%)로 나타났는데, 이는 2020 년 1 학기의 경우
코로나 19 의 급격한 확산으로 갑작스럽게 전면 온라인 수업이 결정되어 교수자들이 온라인
수업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이해된다. 예컨대, 교수자들이
정보통신기기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온라인 수업형 강의 자료 개발도 제대로 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교수자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의 차이, 수업내용과 온라인 수업
방식과의 적합도 차이(실험, 실습 중심의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함에 따른 수업 질
저하 등)도 주요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이와 같은 가능성을 방증한다. 이와 같은 수업 준비
정도 차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좁혀져서 온라인 수업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서 면밀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표 5>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 발생 원인
온라인 수업 질 차이 발생 원인 N 퍼센트
① 교수자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의 차이 78 18.9
②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준비 정도의 차이 116 28.1
③ 수업내용과 온라인 수업 방식과의 적합도 차이(실험, 실습 중심의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함에 따른 수업 질 저하 등) 78 18.9
④ 온라인 수업 방식의 차이(예, 실시간 화상 강의, 동영상 강의 등) 80 19.4
⑤ 온라인 수업에서 평가방식의 차이 26 6.3
⑥ 학생의 온라인 수업 참여도 차이 33 8.0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⑦ 기타 2 0.5 계 413 100.0
온라인 수업에 대해 학생들의 불만 사항을 조사한 결과, <표 6>에서 보여주듯이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부족을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고(21.1%), 다음으로 증가된
학습량(21.0%)이 뒤를 이었다. 부실한 수업 내용이나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낮은
친숙도가 불만이라고 응답한 학생도 각각 13.1%와 11.1%이었다. 이 밖에도 학생 간 상호
작용 부족(9.4%), 실험/실습의 부재(8.9%), 온라인 수업 인프라 부족(8.0%)에 대해서도
적지 않은 학생이 불만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 19 확산 이전에는 온라인 수업을 듣더라도 필요한 경우 얼마든지 오프라인 미팅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하였지만, 현재는 오프라인 미팅 등을 통한 상호작용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부족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수업에서도 교수자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교수법 또는 정보통신기술 개발
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온라인 수업에 따른 학습량의 증가 문제는
상호작용의 부족 선상에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오프라인과 달리 교수자가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과제물을 통해
학습 활동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주는 형태로 운영하다보니 자연스럽게 과제물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학습량 증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학생 간의 상호 작용 부재나
온라인으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실험 실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은 여전히
온라인 수업에 있어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6>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불만 사항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불만 사항 N 퍼센트 ① 부실한 수업 내용 114 13.1
② 온라인 수업을 위한 인프라 부족(인터넷 속도, 컴퓨터 등에 대한 접근성 등) 70 8.0
③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의 부족 184 21.1
④ 교수자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부족 27 3.1
⑤ 실습, 실험 등의 부재 77 8.9
⑥ 열악한 교수학습지원시스템(LMS) 환경 36 4.1
⑦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낮은 친숙도(선호도, 흥미도 포함) 97 11.1
⑧ 학생 간 상호작용의 부족 82 9.4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⑨ 증가된 학습량(예, Take-home 과제 등) 183 21.0 계 870 100.0
본 연구에서는 또한 만일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선호한다면 어떤 이유인지에 대해
물어보았다. <표 7>에서 보여주듯이 36.3%의 학생이 코로나 19 와 같은 전염병 문제를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로 들었다. 다음으로 21.2%의 학생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거의 없다는 점을 선택하였으며, 비용 절감과 반복적 학습으로 인한 편의성을 이유로 든
학생도 각각 17.4%와 13.1%에 달하였다.
<표 7>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
온라인 수업 선호 이유 N 퍼센트
①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용 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거의 없음 113 21.2
②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 절감(기숙사비, 교통비 등) 93 17.4
③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친숙도(선호도, 흥미도 포함) 향상 9 1.7
④ 교수자와의 비접촉으로 인한 대인관계의 편의성 16 3.0
⑤ 학생 간 비접촉으로 인한 대인관계의 편의성 22 4.1
⑥ 반복적 학습의 가능 및 편의성 70 13.1
⑦ 전염병 등의 위생문제 해결 194 36.3
온라인 수업 선호 이유 N 퍼센트
⑧ 교수자의 의존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학습 시도 및 책임감 강화 17 3.2 계 534 100.0
2.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다음으로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대해 5 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한
결과, <표 8>과 같이 항목별로 평균 3.04 에서 3.51 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컴퓨터나 노트북과 같은 하드웨어 활용 능력의 점수가 평균 3.51 로 가장 높았고, MS
Office 와 같은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이 3.04 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학생들은
하드웨어 활용은 상대적으로 자신이 있지만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은 상대적으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며, 따라서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학교별로 살펴보면, 호남권에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위치한 B 대학이 일관되게 모든 항목에서 본인이 평가한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학습관리시스템 활용 능력이나 앱 등의 활용 능력에서는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남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이전에 온라인 수업을 경험해봤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모든 항목에서 일관되게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표 8> 학습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차이 (단위, %) 온라인 학교 성별 수업 내용 전체 경험 A B C 여 남 유 무 3.60 3.75 3.46 3.50 3.52 3.57 3.30
①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활용 능력 3.51 F=2.738 t=-0.184 t=3.191** 3.12 3.41 3.19 3.20 3.22 3.25 3.07
② 구글 클래스룸, 줌 등과 같은 플랫폼 활용 능력 3.21 F=1.508 t=-0.247 t=1.913 2.92 3.18 3.03 3.00 3.10 3.10 2.83
③ MS office 등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3.04 F=0.997 t=-1.204 t=2.733** 3.28 3.61 3.22 3.34 3.13 3.34 3.04 ④ 교내 e-Learning
LMS(학습관리시스템) 활용 능력 3.27 F=4.683** (B>C) t=2.623** t=3.439*** 3.14 3.27 3.12 3.16 3.10 3.19 2.95
⑤ 기타(예, 교육 앱(app) 활용 능력) 3.14 F=0.761 t=0.686 t=2.802** ** p<0.01, ***p<0.001
본 연구에서는 또한 이와 같은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학교 간 차이)과 t-검정(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 차이)을 실시하였다.
<표 8>에서 보여주듯이 학교 및 성별에 따른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차이는 ‘④ 교내 e-
learning LMS 활용 능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는 ‘② 구글 클래스룸, 줌 등과 같은 플랫폼 활용 능력’을 제외한 모든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은 자기 보고식
척도로서 학생들이 본인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대해서 얼마나 자신감을 가지고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있는지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계적 검정 결과는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경험이 적어도 학생들이 본인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온라인 수업 만족도
이어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수업 형태별로
만족도를 5 점 리커트 척도로 학생들에게 물어보았다. <표 9>에서 보여주듯이 수업 형태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강의 없이 과제물 중심의 수업이 만족도가 평균 2.17 로 가장 낮았으며,
교수자의 강의 영상을 활용한 동영상 강의가 3.34 로 강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강의는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만족도가 보통
이상(3.0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다른 온라인 수업 형태는 모두 보통 이하(3.0 이하)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영상 강의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시간이나
장소의 제약 없이 수업을 들을 수 있고, 반복 시청 등이 가능한 비동시성 강의를 가장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학교별 분석에서는 영남권에 위치한 A 대학교가 모든 항목에서 일관되게 만족도가
높았으며, 호남권에 위치한 B 대학교가 대체적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남학생들은 실시간 화상 강의나 교수님의 동영상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여학생들은 과제물이나 강의 없는 동영상 자료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전에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지 못한 학생들의 만족도보다 일관되게 낮게 나타났다.
<표 9>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단위, %) 온라인 학교 성별 수업 내용 전체 경험 A B C 여 남 유 무 3.00 2.83 2.94 2.92 2.95 2.90 3.02 2.93 ① 실시간 화상 강의 F=0.351 t=-0.221 t=0.843 3.67 3.53 3.24 3.33 3.37 3.31 3.47
② 교수님의 강의 영상을 활용한 동영상 강의 3.34 t=-0.406 t=-1.111 F=5.383**(A, B>C)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온라인 학교 성별 수업 내용 전체 경험 A B C 여 남 유 무 3.17 2.71 2.77 2.86 2.72 2.77 2.98
③ 교수님의 강의가 아닌 기타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동영상 강의 2.81 F=2.657 t=1.072 t=-1.470 2.25 1.81 2.23 2.20 2.12 2.11 2.41
④ 동영상 강의 없이 과제물 중심의 수업 2.17 F=2.763 t=0.590 t=-1.931 ** p<0.01
다음으로 온라인 수업 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일원 분산분석(학교 간 차이)과 t-
검정(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 차이)을 실시하였다.
<표 9>에서 보여주듯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 차이 검정에서는 교수자의 동영상 강의에
대해서만 학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만족도 평균값과 연계해서 살펴보면, 모든 집단에서 만족도 평균이
보통이상(3.0 이상)인 교수자의 동영상 강의는 학교 간에 만족도 차이가 있지만, 나머지
온라인 수업 형태에서는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으며, 이와 같이 낮은 만족도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온라인 수업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개선
방안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4. 온라인 수업에 대한 보완점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1 학기 온라인 수업을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보완점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았다. 설문 결과 20.7%의 학생이 안정적인 서버 구축을 보완점으로
꼽았다. 이는 온라인 수업 초기 서버 불안정으로 인한 접속 장애 등의 혼란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JTBC, 2020). 특히 박은경(2020)에 의하면 컴퓨터 오류 등의 예기치 못한 문제
발생으로 인해 실시간 화상 강의에 대한 불안감이 동영상 강의보다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따라서 올해 초 서버 불안정 등의 문제로 인해 실시간 화상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동영상
강의 만족도보다 낮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보완점은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과 온라인 수업 방식
및 운영의 표준화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갑작스런 비대면 수업 전환으로 인해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교수법이나 강의 자료 준비, 강의 방식에 대한 충분한 준비 없이 1 학기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졌음을 방증한다. 따라서 온라인 교육에 적합한 온라인 맞춤형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또한 앞으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라 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도 12.7%에 달하였다.
<표 10> 온라인 수업에 대한 보완점 온라인 수업 보완점 N 퍼센트 ① LMS 기능 개선 63 7.6
② 안정적인 서버 구축 172 20.7
③ 온라인 수업 방식 및 운영의 표준화(원격통신미디어, 학습기간, 평가 방식 등) 140 16.8
④ 엄격한 학사관리(출석, 평가 기준의 엄격한 적용 등) 68 8.2
⑤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
(온라인 수업에 맞는 교수 방법 개발 및 교수도구 활용) 158 19.0
⑥ 온라인 수업에 활용할 모바일 디바이스 대여를 위한 장비 확충 38 4.6
⑦ 상호작용의 개선을 위한 기술 개발
(예, 현재는 아이컨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AR, VR 기술 등의 도입 필요) 25 3.0
⑧ 온라인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보급 106 12.7
⑨ 학생 간 협력 학습 촉진을 위한 온라인 학습공동체
지원 (예, 학습커뮤니티 온라인 조교 운영 등) 62 7.5 계 832 100.0 V.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대학 현장에서 코로나 19 확산으로 촉발된 온라인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각 1 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상대로 온라인
교육의 실태와 만족도 및 보완점을 살펴보았다.
우선 온라인 수업 형태로는 강의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화상 강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50%정도의 학생들이 교수 또는 과목에 따라서 수업의 질에 차이를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의 질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교수자의 수업 준비 정도 차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교수자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차이나 수업내용과 온라인 수업 방식의 적합도 차이라고 응답하였다. 50%에 가까운
학생들이 교수자 관련된 요인을 수업의 질 차이 발생 원인으로 선택하였으며, 이는
코로나 19 확산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갑작스럽게 전환된 데에 따른 과도기적 현상으로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이해된다. 다만, 후속 연구를 통해 일정한 준비 기간을 거친 2 학기 온라인 수업에서도
여전히 교수자 관련 요인이 온라인 수업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큰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설문 분석 결과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전염병 예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 자체의 장점들(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는 학습,
반복학습의 편의성 등)은 아직까지 부수적인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온라인
수업 자체의 장점들 때문에 오프라인 수업보다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므로
학생들이 오프라인 수업과 비교하여 온라인 수업에 대한 잠재적인 불만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컴퓨터나
노트북 같은 하드웨어에 대한 본인들의 활용 능력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했지만 구글
클래스룸이나 줌 등의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하드웨어에 비해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해서는 자신감이 없어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 동영상 강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영상 강의 없는 과제물 중심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나 성별, 온라인 수업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이 시간과 공간에 제약 없이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비동시적 학습을 선호하는
최근 경향과 과중한 과제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는 과제물의 증가가
온라인 교육에서 가장 큰 부담이며 학생들이 과제물 중심의 수업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선행
연구(이동주, Misook Kim, 2020)와도 부합한다. 한편 동영상 강의 다음으로 실시간 화상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종만(2020)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상호작용의
부재가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실시간 화상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동영상 강의 다음으로 높은 것은 실시간 화상 강의가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의
비동시성을 제약하긴 하지만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제한적이나마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다만, 올해 초 발생했던 서버
불안정의 문제는 잠재적으로 실시간 화상 강의에 대한 만족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원활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서버 증설과 같은
온라인 수업 관련 인프라 확충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lOMoAR cPSD| 47882337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마지막으로 1 학기 온라인 수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① 안정적인 서버 구축, ②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 ③ 온라인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보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안정적인 서버
구축에 대한 요구는 일부 과목에서만 적용되었던 온라인 수업 방식을 모든 과목에 확대
적용함에 따라 일시적으로 발생했던 서버 과부하의 문제와 이로 인한 수업 불편의 문제가
반영된 결과로 보이지만, 향후에도 이러한 요구가 지속되는지 면밀히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여러 가지 보완점 중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대학의 투자 역량이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서버의
문제가 온라인 수업 초기에 일시적인 문제이고 학습자들이 서버 구축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없다면,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이나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보급에 대학의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실태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다양한 학습 변인과 이들 변인이 학습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방식에 따른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실증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교육부. (2020.04.01). 모든 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환경 구축에 총력. https://www.moe.go.kr/bo
ardCnts/fileDown.do?m=020402&s=moe&fileSeq=16888ec0d9d6f4cf56a71404af5
10cb7(검색일: 2020. 09.01.) 김현수, 최형림, 김선희. (1999). 가상교육의 핵심성공
요인. 교육공학연구, 15(1), 241-260.
박성영. (2020). 비대면 온라인 실습수업을 통한 효율적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부산.
박은경. (2020).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3(3), 320-338.
보건복지부. (2020.04.04.). '코로나
19, 사회적 거리두기,’ 2 주 더 한다. https://www.mohw.go.
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3 917(검색일: 2020. 09.02.) lOMoAR cPSD| 47882337
교육과정평가연구 제 23 권 제 4 호 (2020)
이동주, Misook Kim. (2020).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3(3), 359-377. 이영석. (2020).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산학 기술학회논문지, 21(8), 557-562.
이왕구. (한국일보. 2020.09.02). 비대면 수업에 학력격차 더 커졌고…하위권은 아예 배제됐다. https://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90204360002226?did=DA(검색일: 2020. 09.05.)
이종만. (2020). 코로나 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342-351.
정창권, 윤종선. (2020). 온라인 실시간 강의의 운영 사례와 교육 효과: 고려대학교 <글쓰기
I>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8(3), 159-179.
정향기. (2020). 코로나 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3(3), 392-412.
정희연, 윤지원. (2020).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인문사회 21,
11(3), 1305-131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n.d.). COVID-19 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재갑. (교육잇다. 2020.08.12.). 교사 80% "학생 간 학습격차 커졌다"...2 학기 전면 등교수업할까?
http://www.itdaa.kr/news/articleView.html?idxno=31355(검색일: 2020.9. 5.)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er. (2020). Teacher’s guide for remote learnin g
during school closures and beyond: Quick decision-making guide for rapid start up and continuity of learning. Retrieved from
https://apa.sdg4education2030.org/s
ites/apa.sdg4education2030.org/files/2020-05/Teachers-Guide-for-Remote-Lea rning-
FINAL-April-2020.pdf.(검색일: 2020. 09. 04.)
JTBC. (2020.03.16.). 개강 첫날 대학 온라인강의 서버 '폭삭'…교수·학생 우왕좌왕. http://mnew
s.jtbc.joins.com/News/Article.aspx?news_id=NB11940297(검색일: 2020.09.05.)
Kanda, T., Hirano, T., Eaton, D., & Ishiguro, H. (2004). Interactive robots as social partners and
peer tutors for children: A field trial. Human-Computer Interaction, 19, 61-84.
・ 논문접수 : 2020.10.05. / 수정본접수 : 2020.10.30. / 게재승인 : 2020.11.10.